본문으로 이동

사모아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모아어
Gagana Sāmoa(IPA: ŋaˈŋana ˈsaːmoa)
사용 국가 사모아, 아메리칸사모아
사용 지역 사모아 제도 일대
언어 인구 510,000명 (2015년 기준)
언어 계통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오세아니아어군
   폴리네시아어군
    사모아토켈라우어군
     사모아어
공용어 및 표준
공용어로 쓰는 나라 사모아의 기 사모아
아메리칸사모아의 기 아메리칸사모아
표준 없음
언어 부호
ISO 639-1 sm
ISO 639-2 smo
ISO 639-3 smo 사모아어

사모아어(Gagana Sāmoa, [ŋaˈŋana ˈsaːmoa])는 폴리네시아어군에 속하는 사모아 제도언어이다. 영어와 함께 사모아아메리칸사모아의 공용어이기도 하다. 약 246,000명에 이르는 사모아 제도 주민 대부분의 모어이며, 다른 나라에 사는 사모아인들까지 고려하면 2015년 기준으로 전 세계에 510,000명의 사모아어 화자가 있다고 추정된다. 2013년 기준으로 사모아어는 뉴질랜드 인구의 2%인 86,000명이 사용하여 뉴질랜드에서 세 번째로 많이 쓰이는 언어이기도 하다.

음운론

[편집]

사모아어 알파벳에는 14개의 글자가 있고, 외래어를 적기 위해 세 개의 글자(H, K, R)를 더 사용한다. 성문 파열음ʻ (koma liliu 또는 오키나)로 적는다.

Aa, Āā Ee, Ēē Ii, Īī Oo, Ōō Uu, Ūū Ff Gg Ll Mm Nn Pp Ss Tt Vv (Hh) (Kk) (Rr)
/a/, /aː/ /ɛ/, /eː/ /ɪ/, /iː/ /o/, /ɔː/ /ʊ, w/, /uː/ /f/ /ŋ/ /l, ɾ/ /m/ /n, ŋ/ /p/ /s/ /t, k/ /v/ (/h/) (/k/) (/ɾ/) /ʔ/

모음

[편집]

사모아어는 단모음장모음 음소를 구분하며 모음 글자에 매크론(¯)을 붙여 장모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tama는 ‘아이’라는 뜻이지만 tamā는 ‘아버지’라는 뜻이다.

단순모음

[편집]
단순모음
단모음 장모음
전설 후설 전설 후설
고모음 i u
중모음 e o
저모음 a

이중모음은 /au ao ai ae ei ou ue/가 있다.

몇몇 단어에서 /a/[ə]로 약화된다. 예를 들어 mate 또는 maliu '죽은', vave '빠르다' 등의 단어가 그렇다.

자음

[편집]

뉴스 방송이나 설교 등에서 쓰이는 격식체 사모아어에서는 자음 /t n ŋ/가 쓰인다. 그러나 구어체 사모아어에서는 /n ŋ/[ŋ]로 합쳐졌고 /t/[k]로 소리난다.[1]

사모아어에는 성문 파열음 /ʔ/ 음소가 있다. 즉 성문 파열음의 유무에 따라 다른 단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ai는 '-로부터, -로부터 온'이라는 뜻이고 maʻi는 '병'이라는 뜻이다.

/l/은 앞에 후설모음(/a, o, u/)이 오고 뒤에 /i/가 올 때 탄음 [ɾ]로 소리나고 그 외에는 [l]로 소리난다. /s/는 영어에 비해 치찰(쉿쉿거리는 소리)이 약하다. 외래어에서는 /ɾ h/도 나타난다.

자음
순음 치경음 연구개음 성문음
비음 m (n) ŋ  
파열음 p (t) k ʔ
마찰음 f v s   (h)
설측음   l    
R음   (ɾ)    

괄호 안의 자음은 격식체 또는 외래어에서만 나타나는 자음이다.[2]

외래어

[편집]

영어 및 다른 언어에서 들어온 외래어는 사모아어 음운론에 맞게 변화를 겪었다.[3]

/k/는 대체로 보존되었고(Christ = "Keriso", club = "kalapu", coffee = "kofe"), 드물게 [t]가 되기도 했다(stocking = "se totini").

/ɹ/은 [ɾ]이 되기도 했고(Christ = "Keriso", January = "Ianuari", number = "numera") [l]이 되기도 했다(January = "Ianuali", herring = "elegi").

/g/는 어떤 경우 [k]가 되었고(gas = "kesi"), /tʃ/, /ʃ/, /dʒ/는 대체로 [s]가 되었다(Charles = "Salesi", Charlotte = "Salata", James = "Semisi").

/h/는 몇몇 고유명사의 어두에서 보존되었지만(Herod = "Herota"), 어떤 경우엔 [s]가 되었고(hammer = "samala"), 어떤 경우엔 탈락했다(herring = "elegi", half-caste = "afakasi").

강세

[편집]

강세는 대체로 끝에서 두 번째 모라에 온다. 즉, 마지막 음절이 장모음 또는 이중모음이면 마지막 음절에, 그렇지 않으면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온다. 그러나 예외도 있다.

단어에 접미사가 붙어면 강세도 그에 맞춰 이동한다. 예: alófa, '사랑'; alofága, '사랑하는'; alofagía, '사랑받는'.

중첩된 단어는 강세가 둘이다. palapala, '진흙'; segisegi, '땅거미'와 같은 예가 있다. 합성어는 그 구조에 따라 강세가 셋이나 넷이 될수도 있다. tofátumoánaíná, '삼켜지다' 와 같은 예가 있다.

관사 lese는 강세가 없다. 대명사나 분사의 일부로 쓰인 경우, lese는 각각 le e, se e의 축약이므로 강세를 받는다. 예를 들어 ʻO le ona le mea '주인'은 O le e ona le mea의 축약이다. 주격 표지 ʻo, 전치사 o, a, i, e, 불변화사 i와 te는 강세가 없다.

명령법 표지 ina는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있고, 가정법 표지 ína는 뒤에서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있다. 전치사 는 마지막 음절에, 대명사 ia는 뒤에서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있다.[3]

음소배열론

[편집]

사모아어의 음절 구조는 (C)V이며 이때 V는 장모음이나 이중모음도 될 수 있다. VV 꼴의 연쇄는 파생어나 합성어에만 나타날 수 있으며, 어근 내에서는 첫 음절만이 V 꼴을 할 수 있다. 자음의 음위전환은 흔하게 일어난다. 예를 들어 namu '냄새'를 manu로, valaʻau '부르다'를 lavaʻau로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모음의 음위전환은 나타나지 않는다.

모든 음절은 모음으로 끝난다. 어근은 음절 하나로 된 것도 있지만 대부분 음절 두 개로 되어 있다. 다음절어는 거의 전부 파생어나 합성어이다.

각주

[편집]
  1. 하와이어에서 *t/k/로 변하고 *n이 합쳐진 것과 비슷하다.
  2. “보관된 사본”. 2019년 4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4월 28일에 확인함. 
  3. Pratt, George (1984) [1893]. 《A Grammar and Dictionary of the Samoan Language, with English and Samoan vocabulary》 3 a revis판. Papakura, New Zealand: R. McMillan. ISBN 0-908712-09-X. 2010년 3월 1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 사모아어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pFad - Phonifier reborn

Pfad - The Proxy pFad of © 2024 Garber Painting. All rights reserved.

Note: This service is not intended for secure transactions such as banking, social media, email, or purchasing. Use at your own risk. We assume no liability whatsoever for broken pages.


Alternative Proxies:

Alternative Proxy

pFad Proxy

pFad v3 Proxy

pFad v4 Prox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