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Kim Ahn-ro

An Entity of Type: animal, from Named Graph: http://dbpedia.org, within Data Space: dbpedia.org

Kim Ahn-ro (Korean: 김안로, 金安老; 1481 – 27 October 1537) was a Korean Joseon Dynasty politician and scholar. His pen name was Huirakdang, Yongcheon, Toejae, and his customary name was Yisuk. He was from the Yeonan Kim clan.

Property Value
dbo:abstract
  • Kim Ahn-ro (Korean: 김안로, 金安老; 1481 – 27 October 1537) was a Korean Joseon Dynasty politician and scholar. His pen name was Huirakdang, Yongcheon, Toejae, and his customary name was Yisuk. He was from the Yeonan Kim clan. (en)
  • 김안로(金安老, 1481년 ~ 1537년 10월 27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외척이다. 자는 이숙(頤叔), 호는 희락당(希樂堂), 용천(龍泉), 퇴재(退齋), 본관은 연안(延安)이다. 김전의 형 김흔의 셋째 아들이다. 김제남의 종증조부이다. 중종의 딸 효혜공주(孝惠公主)의 남편인 연성위(延城尉) 김희(金禧)는 그의 아들이다. 1501년(연산군 7) 진사가 되고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고 홍문관과 사간원 등의 요직을 거쳐 대사간을 지냈다. 언관으로 있으면서 여러 시정의 폐단을 해소할 것을 건의하였으나 시비걸기 좋아하는 인물로 몰리기도 했다. 1519년 기묘사화로 조광조 일파와 함께 유배되었다가 아들 김희가 중종의 장녀 효혜공주의 부군이 되면서 특별히 풀려났다. 1522년에 부제학, 1524년에는 대사헌을 거쳐 이조판서가 되었다. 아들 김희가 중종과 장경왕후의 딸인 효혜공주(孝惠公主)와 결혼한 뒤부터 외척이 되어 권력남용이 잦아 영의정 남곤(南袞), 대사헌 이항(李沆) 등의 탄핵을 받고 경기 풍덕(豊德)에 유배되었다가 석방되었다. 1530년에는 남곤, 이행 일파 및 심정 일파를 몰락시키고 권력을 장악, 그 뒤 문정왕후의 친족인 윤원형, 윤원로 등과 갈등하였으며 윤임과 손잡고 세자(훗날의 인종)를 보호한다는 미명하에 사림파 및 윤원형 일파를 숙청하였다. 이후 우의정과 좌의정을 지냈다. 1537년 문정왕후를 폐출하려다가 실패하고 윤안인(尹安仁)과 대사헌 양연(梁淵)의 공격을 당하고, 이후 양사의 거듭된 공격을 받고 유배되었다가 사형당했다. 중종과 계비 장경왕후의 사돈이며, 중종의 셋째 부인인 문정왕후 일가와도 사돈관계를 형성했다. 그의 조카가 문정왕후의 동생 윤원형의 정실부인이었고, 손녀는 문정왕후의 오빠 윤원로의 아들 윤백원과 혼인하였다. 선조의 계비 인목대비의 재종조부가 된다. (ko)
  • 金安老(朝鮮語:김안로/金安老,1481年-1537年),字颐叔(이숙),號希樂堂(희락당)、龍泉(용천)、退齋(퇴재),是朝鮮王朝中宗時期的權臣,本貫是延安金氏,是其中一人。 (zh)
dbo:deathDate
  • 1537-10-27 (xsd:date)
dbo:termPeriod
dbo:wikiPageExternalLink
dbo:wikiPageID
  • 36882015 (xsd:integer)
dbo:wikiPageLength
  • 4258 (xsd:nonNegativeInteger)
dbo:wikiPageRevisionID
  • 1108513942 (xsd:integer)
dbo:wikiPageWikiLink
dbp:birthDate
  • 1481 (xsd:integer)
dbp:country
  • Joseon (en)
dbp:deathDate
  • 1537-10-27 (xsd:date)
dbp:name
  • Kim Ahn-ro (en)
dbp:office
dbp:predecessor
  • Kim Geun-sa (en)
dbp:successor
  • Yun Eun-bo (en)
dbp:termEnd
  • 1535-04-27 (xsd:date)
  • 1537-11-26 (xsd:date)
dbp:termStart
  • 1534-12-25 (xsd:date)
  • 1535-04-27 (xsd:date)
dbp:wikiPageUsesTemplate
dcterms:subject
gold:hypernym
schema:sameAs
rdf:type
rdfs:comment
  • Kim Ahn-ro (Korean: 김안로, 金安老; 1481 – 27 October 1537) was a Korean Joseon Dynasty politician and scholar. His pen name was Huirakdang, Yongcheon, Toejae, and his customary name was Yisuk. He was from the Yeonan Kim clan. (en)
  • 金安老(朝鮮語:김안로/金安老,1481年-1537年),字颐叔(이숙),號希樂堂(희락당)、龍泉(용천)、退齋(퇴재),是朝鮮王朝中宗時期的權臣,本貫是延安金氏,是其中一人。 (zh)
  • 김안로(金安老, 1481년 ~ 1537년 10월 27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외척이다. 자는 이숙(頤叔), 호는 희락당(希樂堂), 용천(龍泉), 퇴재(退齋), 본관은 연안(延安)이다. 김전의 형 김흔의 셋째 아들이다. 김제남의 종증조부이다. 중종의 딸 효혜공주(孝惠公主)의 남편인 연성위(延城尉) 김희(金禧)는 그의 아들이다. 1501년(연산군 7) 진사가 되고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고 홍문관과 사간원 등의 요직을 거쳐 대사간을 지냈다. 언관으로 있으면서 여러 시정의 폐단을 해소할 것을 건의하였으나 시비걸기 좋아하는 인물로 몰리기도 했다. 1519년 기묘사화로 조광조 일파와 함께 유배되었다가 아들 김희가 중종의 장녀 효혜공주의 부군이 되면서 특별히 풀려났다. 1522년에 부제학, 1524년에는 대사헌을 거쳐 이조판서가 되었다. 아들 김희가 중종과 장경왕후의 딸인 효혜공주(孝惠公主)와 결혼한 뒤부터 외척이 되어 권력남용이 잦아 영의정 남곤(南袞), 대사헌 이항(李沆) 등의 탄핵을 받고 경기 풍덕(豊德)에 유배되었다가 석방되었다. (ko)
rdfs:label
  • Kim Ahn-ro (en)
  • 김안로 (ko)
  • 金安老 (zh)
owl:sameAs
prov:wasDerivedFrom
foaf:isPrimaryTopicOf
foaf:name
  • Kim Ahn-ro (en)
is dbo:wikiPageWikiLink of
is foaf:primaryTopic of
Powered by OpenLink Virtuoso    This material is Open Knowledge     W3C Semantic Web Technology     This material is Open Knowledge    Valid XHTML + RDFa
This content was extracted from Wikipedia and is licen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3.0 Unported License
pFad - Phonifier reborn

Pfad - The Proxy pFad of © 2024 Garber Painting. All rights reserved.

Note: This service is not intended for secure transactions such as banking, social media, email, or purchasing. Use at your own risk. We assume no liability whatsoever for broken pages.


Alternative Proxies:

Alternative Proxy

pFad Proxy

pFad v3 Proxy

pFad v4 Prox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