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3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에서 넘어옴)

2 ← 3 → 4
0 1 2 3 4 5 6 7 8 9
읽는 법
세는 법
한자三 /
소인수 분해소수
로마 숫자III
2진수112
3진수103
4진수34
5진수35
6진수36
8진수38
12진수312
16진수316
20진수320
36진수336
φ(3)2
σ*(3)4
d(3)2
σ(3)4
μ(3)-1
M(3)-1
수 목록 · 정수

3(삼, 三, 영어: three)은 2보다 크고 4보다 작은 자연수다. 또한 표기하기 위한 숫자이기도 하다.

수학

[편집]
  • 3!= 6
  • 3은 2번째 삼각수다.
  • 3은 2번째 소수다. 앞의 소수는 2이고, 다음은 5이다. 바로 앞의 자연수도 소수인 유일한 소수이다. 연속하는 두 자연수 중 반드시 하나는 짝수이고, 나머지 하나는 홀수이므로 2를 포함해야 하는 경우여야 하며 (1, 2) 은 1이 소수가 아니므로 (2, 3)만 이를 만족한다.
  • 3은 부족수다.
  • 3은 첫 번째 페르마 소수다. () 두 번째 페르마 소수는 5이다.
  • 3은 첫 번째 메르센 소수다. () 두 번째 메르센 소수는 7이다.
  • 3은 4번째 피보나치 수다. 앞의 피보나치 수는 2이고, 다음은 5이다.
  • 3은 이전 두 자연수의 합과 같은 유일한 자연수이다.
  • 3은 이전 두 자연수의 팩토리얼의 합과 같은 자연수이다.
  • 3의 제곱은 9다.
  • 3차원 공간 상의 세 점은 한 평면을 결정한다.
  • 3을 포함하는 피타고라스 수
  • 3의 배수는 거꾸로 써도 3의 배수이며, 각 자리수를 다 더해도 역시 3의 배수가 된다.
    • 예: 18→81 (9), 144→441 (9), 123→321 (6)
  • 각 자리의 숫자를 모두 더한 수가 3의 배수이면, 원래의 수도 3의 배수이다.
    • 증명:
  • 3개의 직선이 만나면 삼각형을 이룬다. 삼각형은 꼭짓점이 3개이고 변도 3개인, 가장 적은 변을 가진 다각형이다.
  • 3은 사진법에서 마지막 수이다. 3 다음에 4가 오는 것은 오진법부터 해당하고, 사진법에서는 0,1,2,3,10,11,12,13...하는 식으로 센다.
  • 3개 이상의 숫자를 한꺼번에 : (콜론)을 써서 나타낸 비를 연비로 부른다.
  • 3차마방진은 오직 1개만 존재한다.(회전,상하좌우대칭 제외)
  • 3은 종교적으로 결혼 또는 완전수라고도 한다.
  • 그룹 파이브돌스의 3번째 미니앨범 '짝 1호'의 티저가 공개된 시간은 3시 33분이다.

과학

[편집]

교통

[편집]

철도

[편집]

도로

[편집]
  • 국도 제3호선

방송

[편집]

스포츠

[편집]

역사

[편집]

음악

[편집]
  • 서양 고전음악에서 삼중주는 세 대의 악기로 연주하는 악곡을 말한다.
  • 3화음은 근음, 3도, 5도를 쌓은 것을 말한다.
  • 트라이앵글은 둥근 강철봉을 열린 삼각형으로 구부린 악기다.
  • 세도막 형식은 A-B-A의 주요 부분으로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작품

[편집]

정치·사회

[편집]

지리

[편집]

철학·종교

[편집]
  • 삼위일체: 성부, 성자, 성령
  • 가톨릭 기도문이란 삼종기도가 있다.
  • 삼독: 불교에서 깨달음에 장애가 되는 세 가지로, 탐욕(貪), 분노(성냄)(嗔), 어리석음(癡)을 말함.[2]
  • 시경》, 《서경》, 《역경》(주역)을 묶어 삼경이라 부른다.
  • 군자삼락(君子三樂): 《맹자》에 나오는 말로, 부모가 살아계시고 형제가 무사한 것, 하늘과 사람에 부끄럽지 않은 것, 천하의 영재를 얻어 교육하는 것을 말함.[3]
  • 삼여(三餘): 책을 읽기 좋은 때로, 겨울, 밤[夜], 장마철을 말함.[4]

기타

[편집]

3을 나타내는 그림과 사진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다만 이에 반론을 제기한 학자가 있다. 김태식, 〈삼국시대, 사국시대〉, 《역사비평》 74, 역사문제연구소, 2006년.
  2. 《잡아함경》 권18, 490 〈염부차경(閻浮車經)〉 : “舍利弗言, 涅槃者, 貪欲永盡, 瞋恚永盡, 愚癡永盡, 一切諸煩惱永盡, 是名涅槃."
  3. 《맹자》 〈진심·상〉20, "孟子曰:「君子有三樂,而王天下不與存焉。父母俱存,兄弟無故,一樂也。仰不愧於天,俯不怍於人,二樂也。得天下英才而教育之,三樂也。君子有三樂,而王天下不與存焉。」"
  4. 《삼국지》 권13, 王朗傳子名肅 주석의 《위략》 인용, “或問三餘之意,遇言「冬者歲之餘,夜者日之餘,陰雨者時之餘也」。”
pFad - Phonifier reborn

Pfad - The Proxy pFad of © 2024 Garber Painting. All rights reserved.

Note: This service is not intended for secure transactions such as banking, social media, email, or purchasing. Use at your own risk. We assume no liability whatsoever for broken pages.


Alternative Proxies:

Alternative Proxy

pFad Proxy

pFad v3 Proxy

pFad v4 Proxy